전체 글(100)
-
[데이터베이스] ER 스키마를 관계 모델의 Relation으로 사상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ER 스키마를 관계 데이터 모델의 relation들로 사상함 ER 스키마에는 엔티티 타입과 관계 타입이 존재하지만, 관계 데이터베이스에는 엔티티 타입과 관계 타입을 구분하지 않고, relation들만 있음 릴레이션으로 사상할 대상이 ER 스키마에서 엔티티 타입인지 또는 관계 타입인지, 엔티티 타입이라면 정규 엔티티 타입인지 약한 엔티티 타입인지, 관계 타입이라면 2진 관계 타입인지 3진 이상의 관계 타입인지, 애트리뷰트가 단일 값 애트리뷰트인지 또는 다치 애트리뷰트인지 등에 따라 사상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ER 모델을 relation으로 사상하는 7개의 단계로 이루어진 알고리즘 7개의 단계 사상할 대상 알고리즘의 단계 엔티티 타입과 단일 값 애트리뷰트 단계 1: 정규 엔티티 타입 ..
2022.06.13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ER 모델
1. 데이터베이스 설계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로 구분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실제로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와는 독립적으로 정보 사용의 모델을 개발하는 과정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는 물리적인 저장 장치와 접근 방식을 다룸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조직체(실세계)의 엔티티, 관계, 프로세스, 무결성 제약조건 등을 나타내는 추상화 모델을 구축 엔티티는 서로 구분이 되면서 조직체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내려는 객체(사람, 장소, 사물 등)를 의미 관계는 두 개 이상의 엔티티들 간의 연관을 나타냄 프로세스는 관련된 활동을 나타냄 무결성 제약조건은 데이터의 정확성과 비즈니스 규칙을 의미 2. 개념적 수준의 모델 특정 데이터 모델과 독립적으로 응용 세계를 모델..
2022.06.10 -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에 대한 이해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또는 유사한 시스템에서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단위이다.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경시킨다는 이야기는, select, update, insert, delete와 같은 행동을 뜻한다.) 여기서 트랜잭션을 조금 더 자세히 풀어 쓰자면, 쪼갤 수 없는 업무 처리의 최소 단위라고 할 수 있다. 트랜잭션에는 4가지의 특징이 존재한다. 1. 원자성 2. 일관성 3. 독립성 4. 지속성 원자성 원자성은 트랜잭션이 DB에 모두 반영되거나, 전혀 반영되지 않거나를 뜻한다. All or Nothing의 의미이다. 일관성 일관성은 트랜잭션 작업 처리의 결과가 항상 일관되어야 한다를 뜻한다. 즉, 데이터 타입이 반환 후와 전이 항상 동일해야 한다..
2022.06.07 -
MVC 구조에서 service와 serviceImpl
이제는 JSP 개발시 MVC 패턴으로 작업하는게 당연시 되고있다. MVC패턴이란 화면에 보여줄 view 에 대한 작업, DB에서 조회 혹은 DB에 저장할 내용을 중간에 가공, 처리하는 비즈니스로직, DB에 연결하는 DAO 작업까지 JSP에서 다 하던걸 패턴화 시켜 분리하여 개발하는것인데 각각의 역할에 따라 파일들을 분리해서 작업하는것이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소스를 분리함으로서 각 소스의 목적이 명확해 지고 유지보수하는데 있어서 용이하기 때문이다. MVC 패턴으로 개발하고자하면 자연스레 한 페이지에 5개의 파일이 생성되는데 JSP, Controller, DTO, Service, DAO 이다.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이 파일들 중 Service에 관한것이다. 오랜시간 궁금했던 것 Service 에 대해선 항..
2022.05.28